용벰라이프 (재테크/ 운동 / 일상)

[2월 4주차] 미국주식 섹터별 고점대비 하락률 정리! (2.27 기준) (빅테크,테슬라,엔비디아) 본문

미국주식/고점대비하락률 주간정리 [전체]

[2월 4주차] 미국주식 섹터별 고점대비 하락률 정리! (2.27 기준) (빅테크,테슬라,엔비디아)

용뱀83 2022. 2. 27. 18:10
반응형

# 미국증시 주간 한줄 요약

* 우려햇던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실제 발발하면서 세계증시는 이에 대한 충격으로 크게 하락했다가, 목요일 바이든 발표연설에서 미국이 실제 참전한다는 내용이 나오지 않고,  러시아-우크라이나가 협상에 임한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시장은 다시 반등하면서 약보합세로 마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미국 및 유럽이 러시아 SWIFT 배제 등 추가제재 , 러-우크라이나 간 협상이 결렬된다는 소식이 발표되고,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도시로 진입했다는 뉴스가 나오는 등  한동안 전쟁 이슈로 인한 변동성은 지속 될 듯합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증시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됨. 

* 주간 수익률 S&P500 +0.16%  NASDAQ +0.09%  DOW30 -0.91%

* 미국채 10년물 금리 1.91% -> 1.98%

* 유가 $91.59 

 

# 미국증시 주요 일정

3월 1일 (화) - 바이든 연설

3월 2일 ~ 3일 - 파월의장 상/하원 연설

3월 4일 (금) - 2월 고용지표 발표

3월 10일 (목) - 2월 CPI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3월 15일 (화) - 3월 FOMC (기준금리 발표) 


# 고점대비 하락률을 체크하는 목적

매주 장 시작전 섹터별 업종들과

제 관심종목들을 살펴보고 고점대비 수익률(하락률)은 얼마인지 단기과열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성적으로 투자하기 위함.



INTRO

02.27 기준

 

대표 섹터별 ETF 현황 (고점대비 하락률 // 1개월 3개월 YTD 수익률 )

우량주(고점대비 하락률 // 1개월 3개월 YTD 수익률 // SMA200 // RSI)

 

SMA 200 은 이동평균선 200일선을 의미함

보통 20~25가 초과되면 과열되었다고 판단함. (투자자들마다 약간씩 상이할 수 있음)

 

RSI > 70 -> 과매수 구간

RSI < 40 -> 과매도 구간 이라고 일반적인 기준으로 판단됨. 

 

해당 지표는 매수/매도를 결정하는 핵심지표가 아닌 보조 지표. (이 지표만 가지고 매수/매도는 NO!)

 


2월 4주차 주간수익률

2.21- 2.25 섹터별 주간 수익률 요약표입니다!

 

 

주요기업만 몇종목 살펴보면

 

AMD (암드) +7.73% - 80억달러 자사주 매입 발표 및 기관 목표주가 상향

PYPL (페이팔) +5.46% - 정말 오랜만에 반등이라 추가!

 CVX (쉐브론) +5.07% - 미국 석유 기업

 

-

 

HD(홈디포) -8.99% - 호실적 발표. 그러나 코로나 종식 이후의 실적 우려로 하락 마감

TSM(TSMC) -7.12%  - 러 반도체 수출 중단 검토 발표

TSLA(테슬라) -6.86% - 러시아 전쟁이슈로 전기차 생산 원자재 공급 타격 우려 심화

 

 

*해당 맵은 FINVIZ.COM에 들어가면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사진자료 무단 불펌 금지!!

*개인적으로 보시는것은 자료 저장 보관 다 가능합니다.

다만, 오픈카톡방 등 다른 단체공간에 전달 및 공유하는 경우 원문링크로만 공유가능합니다.

사진자료만 무단배포시 신고조치할 예정입니다.

 

섹터별 주요 기업들을 정리했고,

고점대비 하락률이 가장 큰 기업순으로 정리

 

본인이 관심갖는 기업 위주로 보시고,

산업별로 어떤 섹터가 이번주에는 상승했고, 하락했는지 확인하다보면

시장의 큰 흐름을 파악하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추가하고 싶은 기업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참고하여 다음 포스팅에서 반영하겠습니다^^


3대지수 대표 ETF

그동안 우려햇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실제 발발하면서 세계증시는 이에 대한 충격으로 크게 하락했다가, 목요일 바이든 발표연설에서 미국이 실제 참전한다는 내용이 없고 러시아-우크라이나가 협상에 임한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시장은 다시 반등하면서 마감하는 주간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주말 다시 협상이 결렬된다는 소식이 발표되고,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도시로 진입했다는 뉴스가 나오는 등  한동안 전쟁 이슈로 인한 변동성은 지속 될 듯합니다.


섹터별 대표 ETF

강세 섹터 :  친환경, 태양광

약세 섹터 :  여행,항공

 

최근 리오프닝 기대감이 증가되면서 계속 상승추세를 보였던 여행 항공섹터가 조정을 받는 주간이였네요. 

연초 이후 주가를 살펴보면 대부분 섹터가 조정받은 것과는 달리 에너지 섹터가 압도적인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빅테크 + 테슬라

이번주는 테슬라가 큰 하락을 보였습니다. 주요 원인을 살펴보면 

1. 미국 금리 인상 2. 우크라이나 우려로 원자재 가격 상승 3. 리콜 4. 베를린 공장 연기 등의 이슈를 하락요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이번주 장중에 700달러 부근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네요. 하지만 저는 매크로적인 요인들과 단기요인이라고 판단해 펀더멘털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여 저는 700 부근 도달시 추가로 분할매수했습니다.


반도체 & 장비


AMD는 자사주 매입을 발표하여 주주 친화정책을 발표하면서 크게 상승했고, 

TSMC는 러시아 수출 중단을 발표하면서 이에 대한 실적 감소 우려로 -7%로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메타버스


핀테크 & 결제

정말 오랜만에 페이팔과 스케어(블록)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네요. 반등구간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기존 주주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일 듯 합니다. 


클라우드 & 보안

 


금융


부동산(리츠)


자동차


언택트&스트리밍

코로나 이후 수혜기업의 대명사 펠로톤은 다시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는 모습입니다. 고점대비 80%에 육박하다니.. 참 어마무시하네요..

 


레져&여행

한동안 리오프닝 기대감으로 올랐던 여행주가 이번주는 다소 조정을 받으면서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헬스케어


에너지


럭셔리&프랜차이즈


패션


리테일


소셜미디어


핫이슈&중소형

실적이 나오지 않는 중소형주는 이런 시장환경에서는 하락폭이 더 큰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요약

장기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고점에 매수해서 바로 물려버리면

심리상 버티기가 쉽지 않다.

손절하는 경우도 많고,

본전이 오면 바로 파는 경우도 많다.

어느정도 하락한 우량주를 매수하면 이럴 가능성이 적어지기에

더욱 더 수월하게 장기투자를 할 수 있다.

 

주요 ETF와 우량주 고점대비 하락률을 매주 체크해야 하는 이유

 

1. 실적을 내고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섹터)은 우상향한다. 하지만 그게 언제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2. 아무리 좋은 기업도 하락하는 시기가 있다. 계속 오를 순 없다. 단기과열시에는 급격한 하락이 올수도!

3. 과열되지 않은 우량주를 찾아 장기투자를 실천해야한다.(안되면 기계적으로!)

 

원칙 정하기

 

1. 현금비중 10~15% 유지

2. 미리 체크한 우량주 고점대비 하락률 체크

3. 15~20% 하락 -> 1차매수

20~25% 하락 -> 2차매수

30~40% 하락 -> 3차매수 기계적 매수 실천

4. 절대 충동 매수 금지. 단기과열된 종목들은 그만큼 많이 하락할 가능성 高

 

장기적으로 가져갈 성장주 종목들의 현황을 매주 체크해서

하락시 미리 정한 원칙에 따라 이를 매수한다면 장기적으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매주 내가 보유하고 있는 우량주 또는 눈여겨보는 종목들을 체크하여 하락시 매수할 계획입니다.

 

위의 내용은 제가 정한 원칙이고, 이를 응용하여

투자하는 분들도 오늘부터 나만의 원칙을 세워 투자에 임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모두 경제적 자유를 위해! 성투 화이팅입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