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고점대비하락률
- 엔비디아
- 애플
- 우량주장기투자
- 마이크로소프트
- 충동구매
- 합리적소비
- BULZ
- 가계부
- 마소
- 신용카드캐시백
- 미국주식우량주
- 테슬라
- 절약
- 충동구매방지
- 우량주
- 공모주
- 티끌모아태산
- 미국주식장기투자
- TQQQ
- 장기투자
- 미국주식고점대비하락률
- 빅테크
- 아마존
- 짠테크
- SOXL
- 재테크
- 미국주식
- 미국주식고점대비
- 무한매수법
- Today
- Total
목록주식용어 (6)
용벰라이프 (재테크/ 운동 / 일상)
오늘은 투자자들의 주체인 외국인, 기관, 개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사에서 환율상승으로 외국인 수급이 하락하면서 코스피도 하락했다라는 이야기를 종종 들어보셨을 겁니다. 여기서 외국인이 어떤 외국인을 말하는 건지 환율이 상승하면 왜 외국인 수급이 줄어드는지 저도 종종 의문이 들었는데요. 이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외국인투자자 외국인투자자라고 하면 미국의 기관투자자를 말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미국, 영국 등 서구 선진국의 비중이 크지만 중국, 일본, 중동, 남미 등 외국인 투자자는 다양한데요. 기관뿐만 아니라 외국의 개인투자자도 포함됩니다. 이 모든 외국인 투자자를 합쳐서 외국인이라고 부릅니다. 외국인투자자들은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들이 굉장히 많기에 ..
오늘 살펴볼 용어는 '선물옵션만기일'입니다. 다들 뉴스나 기사에서 한번씩은 들어보셨을 거같은데요. 변동성이 커서 유의해야한다.. 이정도로만 알고 있어서 보다 정확히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합니다. 주식 - 기업의 지분을 사는 것. 따라서 10년 이상 장기보유를 할 수 도 있고, 매수 당일 매도를 할 수도 있습니다. 즉 보유기간에 제한이 없습니다. 반면 선물과 옵션이라는 상품은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선물 -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 옵션 -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일정한 기간 내에 상품이나 유가증권 등의 특정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 선물옵션만기일 - 선물과 옵션을 더 이상 보유할 수 없는 만기일 만기일은 선물..
액면분할 액면분할은 주식의 액면가액을 일정한 분할비율로 나눔으로써 주식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액면가란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정하는 기본 가격. 국내 사례를 살펴보면 2018년 1월 1주 250만원 하던 삼성전자가 50대 1 액면분할을 결정하면서 5만원이 된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주가가 매우 싸보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비싸서 거래가 어려웠던 기업의 가격을 낮춰서 거래를 용이하게 해주고, 거래량이 너무 적어서 매매가 어려웠던 기업은 주식수를 증가시켜 거래를 활성화시켜준다. 기업가치의 변화는 없지만 거래측면에서는 굉장히 활성화를 해주는 유용한 방법이다. 물적분할 물적분할은 회사의 재산을 분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SK하이닉스를 10주 보유하고 있는데, SK하이닉스가 SK하이닉스반도체장비를 따로 물..
옵션 옵션이란 어떤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매수,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이 권리는 살 수도 있고, 팔 수도 있다. 권리를 행사하기 싫으면 권리를 포기해도 된다. 다만 포기에 따른 손실은 본인이 감수해야 한다. 옵션에는 크게 콜옵션과 풋옵션이 있다. 콜옵션은 어떤 자산이 미래의 어느 시점에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처음 약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예를들어 철수라는 사람이 핸드폰을 판매하는 업자에게 핸드폰을 사기로 했다고 가정을 해보자. 철수는 핸드폰 가격이 현재 50만원인데 3달 뒤에는 60만원으로 오를거 같다고 예상을 했다. 그래서 업자에게 핸드폰을 3달 뒤에 55만원에 사겠다고 하고 55만원에 살수 있는 권리를 달라고 요구를 한다. 업자는 3만원의 계약금을 조..
1. 유상증자 증자에는 2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돈을 받고 주식을 주는 유상증자이고, 다른 하나는 돈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 무상증자이다. 유상증자는 주식시장에서 바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부채가 증가하지 않고 자본만 증가하게 됩니다. 대출은 이자를 내야 해서 비용 부담이 있지만 유상증자는 그런 부담이 없어서 기업들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때 많이 활용을 한다. 시장 상황이 좋은 경우 투자심리가 좋기에 유상증자가 흥행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이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 투자나는 먼저, 유상증자로 증가하는 주식수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자금조달의 목적이 무엇인지도 확인해야 한다. 자금조달이 성장을 위한 설비투자를 위한 자금인지 아니면 다른 용도인지를 말이다. 그 이유는 설비투..
투자를 하는 데 있어 알아둬야 할 필수 기본 용어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시가총액 시가총액은 기업의 크기를 의미하는데, 기업이 시장에서 얼마만큼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현재 주가에 그 기업의 총 주식수를 곱하면 시가총액이 나온다. 투자자는 단순 주식의 가격이 아닌, 시가총액을 봐야한다. 그래야 기업가치의 변화, 경쟁기업과의 비교를 할 수 있다. 그래서 내가 투자하는 기업가격의 변화를 보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가총액의 변화도 살펴보는 습관을 기르는게 도움이 된다. 2. IPO KOSPI나 KOSDAQ에서 공식적으로 거래되기 위해서는 기업공개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기업공개를 IPO라고한다. 약자로는 Initial Public Offering이다. 기업들이 IPO를 하는 ..